프랑스어(첨부파일) : Comment bien prendre les médicaments – Insomnie
불면증 치료제 바로 알고 사용하세요 똑소리나는 의약품복용법 불면증이란?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잠을 계속 유지하기 어려운 증상을 말합니다. 55세 이후가 되면 잠을 부르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수면장애 환자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는 환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 환자는 59.2%로 남성 환자 40.8%보다 약 1.5배 높았습니다. 불면증의 종류 증상에 따른 분류 1. 수면시작 불면증 - 잠에들기 어려운 경우 2. 수면유지 불면증 - 자주 깨거나 전체 수면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깨어있는 경우 기간에 따른 분류 1. 단기 불면증(3개월 미만) - 일상생활에서의 불안, 스트레스와 주로 관련 2. 만성 불면증(3개월 이상 지속) - 만성화된 원인에 대해 정확한 의학적 평가 필요 불면증은 왜 생기나요? 1) 환경적 요인 -개인적인 업무상 스트레스 -가족 또는 친지와의 사별 -인간관계의 갈등 2) 동반 질환 -호흡기 질환 예) 천식, 수면무호흡증 -만성통증 예) 골관절염, 통풍 -정신과질환 예) 우울증, 조울증, 불안장애 3) 복용 중인 약물의 부작용 -전립선 비대증치료제, 고혈압 치료제,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 등 -알코올, 카페인, 니코틴 등 불면증 환자 중 상당수가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불면증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1) 병력 검토 -의학적 또는 정신과적 질환 여부 -필요 시 신체검사 실시 2) 복용 중인 약물 검토 -현재 복용 중인 약물 확인 -식습관도 함께 확인 3)수면상태평가 -잠자리에 누운 시간과 잠에 든 시간 -수면 중 일어나는 횟수 -총 수면시간 -수면습관(코골이나 무호흡증) 불면증은 의사의 면담을 통한 병력, 약물 복용력, 정신과적 검사와 함께 필요 시 신체검사, 수면상태 평가 등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진단합니다. 불면증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1) 생활습관 개선 수면위생법 낮잠은 안돼요 취침 3~4시간 전에는 휴식을 취하세요 늦은 오후에는 알코올, 카페인은 안돼요 잠들기 전에 공복을 피하기 위해 우유마시는건 괜찮아요 편안한 잠을 위한 환경 조성 잠자리는 어둡고 조용한 게 좋아요 필요 시 안대나 귀마개를 사용할 수 있어요 잠자리에서 텔리비전이나 핸드폰은 사용하지 마세요! 불면증 치료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 제거와 함께 생활습관 교육을 통해 수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불면증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2) 약물학적 치료방법-1일반의약품 항히스타민제 약물(디펜히드라민, 독실아민) 본래 알레르기 증상 치료 약물이었지만, 부작용인 졸음 유발 성분을 수면 유도제로 개발, 일시적으로 불면증 완화 복용법- 하루 1회 잠들기 30분 전 복용 부작용- 졸음, 입마름(협심증, 부정맥, 녹내장 등이 있는 환자는 중의 처방전 없이 구입 가능하다고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돼요 불면증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3) 약물학적 치료방법-2전문의약품 트리아졸람 불면증 단기 치료 목적으로 허가된 약물 복용법- 단기간 보통 7일에서 10일 복용 부작용- 의존성 및 금단 증상, 졸음 또는 어지러움 졸피뎀 잠들기 어려운 불면증에 효과적인 약물 복용법- 반드시 취침 직전에 복용하고, 1회 치료기간은 4주를 넘지 않아야 함 부작용- 완전히 깨지 않는 상태에서 수면 운전, 음식 먹기 등 복합 행동을 기억하지 못함 이약은 졸음 또는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운전이나 기계조작 전에 최소 8시간의 수면을 권장합니다. 불면증 치료 시 이런 점을 주의하세요 1. 다른 수면제, 감기약, 해열진통제 등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복용하면 과도한 졸림이 나타날 수 있어요 2. 불면증에 사용하는 약물들은 의존선,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한 후에 복용해야 합니다. 3. 건강한 수면을 위해서 약물치료보다 생활습관 개선이 먼저 선행되어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한 의약품의 정보는 '온라인의약도서관' 사이트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