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가족, 아름다운 가족
가족 에티켓
여자 : 안녕하세요, 잠시 인터뷰좀 가능하실까요?
[세 명의 자녀를 둔 40대 직장인]
한명호(가명) : 아.. 네, 가능합니다.
Q : 나라의 법이 없다면 우리의 생활은 어떻게 될까요?
한명호(가명) : 음.. 범죄도 많아지고.. 혼란스러워지지 않을까요...?
Q : 다니시는 직장에 사규가 있으신가요?
한명호(가명) : 네. 있습니다.
Q : 그러면 혹시 가정에는 규칙이 있으신가요?
한명호(가명) : 가정 규칙이요..? 없는데요..?
따로 또 같이 가정 규칙 만들기
진행자(박슬지) : 따로 또 같이 가정 규칙 만들기 관련해서 얘기를 나누어 볼건데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한명호(가명) : 네, 안녕하세요. 세 명의 자녀를 둔 40대 직장인 한명호라고합니다.
진행자(박슬지) : 네, 반갑습니다. 가정규칙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어볼까요
[가족에티켓의 첫걸음, 가정 안에 규칙이 있나요?]
진행자(박슬지) : 안전과 질서를 위해 법이나 규칙이 필요한데요. 마찬가지로 가정의 안전, 질서를 위해서 가족구성원의 공통 규칙을 정하는건 어떨까요?
한명호(가명) : 가정규칙.. 가정은 편안함과 휴식을 줘야하는데 너무 삭막해지는거 아닐까요?
진행자(박슬지) : 네.. 가정은 가족에게 휴식을 줄 수 있어야겠죠, 그치만 그편안함이 저절로 생기지 않을텐데요. 어느 한쪽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을 부여하는건 옳지 않는거 같습니다.
한명호(가명) : 어.. 저는 나름 깨어있는 남편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왜냐하면 주말에는 꼭 집안 청소를 하고있어요. 아이들이 어지럽히는 속도를 당할순 없지만요.
진행자(박슬지) : 그럼, 주중에는 아내분께서 집안일을 맡아주시는건가요?
한명호(가명) : 아내가 저보다는 출퇴근이 규칙적이라 주중에는 아내가 더 많이 하는거 같습니다. 다음달부터는 조카가 대학교 때문에 당분간 저희집에서 지내기로 했는데, 아내에게는 늘 미안하네요..
진행자(박슬지) : 그러면, 이러한 부분 대해서는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가족구성원 모두가 가사노동을 분담하는건 어떨까요?
한명호(가명) : 어.. 5명이 모두요? 아이들이 어린데 도움이 될까요?
진행자(박슬지) : 하버드대학교에서는 행복의 비결을 밝혀내기 위해서 80년간 종간연구를 했는데요, 재밌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해요. 잠시 보고 가실까요?
조지 베일런트(George Vallant) 하버드 졸업생과 학교 인근 도시 빈민을 대상으로 종단 연구를 진행하였는데요,
유아기 집안일을 돕는 경험이 성인기의 성공과 정신건강에 도움이 됨을 정확히 예측했습니다.
아이들이 즐거운 마음으로 집안일에 참여하게 되면 책임감은 물론 자신감과 주도성 습득과 성취감 경험을 할수 있습니다.
한명호(가명) : 와... 많은 생각이 드는거 같아요. 사실 어렸을때부터 집안일을 도왔던 기억이 있었던거 같은데, 이제는 생각이 나는거 같네요.
진행자(박슬지) : 네 맞아요.
한명호(가명) : 빨리가서 가족회의를 열고 가사노동을 분담해야겠어요.
한명호(가명) : 가정 규칙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진행자(박슬지) : 네, 가족구성원이 충분히 대화하고, 개개인의 자유를 보호해야지, 공통체로서의 예의와 규범을 합의할수 있거든요? 가족구성원 중에 목소리 큰 한두사람이 규칙을 만들면 강요하면 부작용이 발생할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한명호(가명) : 네, 하나터면 다모아놓고 집안일을 나누어 줄뻔했습니다.
진행자(박슬지) : 하하. 꼭 모든 가족구성원과 충분히 논의해서 만드시길 바랄게요! 상호 합의과정이 없으면, 거부감이 유발되고,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할거에요
[가족간의 에티켓을 위한 가정 규칙 만드는 꿀팁]
1. 모든 가족이 논의해서 만들기
2. 개개인의 자율과 개성을 존중해서 만들기
3.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만들기
4. 장기적으로 추가 및 보완이 될 수 있도록 만들기
한명호(가명) : 합의, 이거를 제일 제1 원칙으로 명심할게요.
진행자(박슬지) : 네, 또하나! 규칙이 너무 엄격하면 구성원들이 불편하게 되구요, 공동체지만 너무 강요해도 개인의 자유가 침해될 수 있습니다.
한명호(가명) : 아, 네.. 그러니까 따로 또 같이 지질수 있는 가정 규칙이 필요한거네요.
진행자(박슬지) : 네, 맞습니다. 행복한 가정을 위해 필요한것은?
1. 가족간의 협력
2. 자유로운 표현
3. 가족원 사이의 믿음
4. 함께 시간 보내기
5. 경제적 안정을 위한 협력
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한명호(가명) : 네, 가사노동만 분담할 일이 아니였네요, 가정의 다양한 영역에서 어떤 규칙이 필요할지 가족들과 충분히 논의하고 만들어보겠습니다.
진행자(박슬지) : 가족공동체의 평화를 위해 개인의 과도한 의무를 부과하는 실수는 피해야합니다.
가정은 개성을 가진 개인들이 서로 편안하게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이여야 하니까요.
개인의 자유와 표현을 보장하려는 노력도 잊지마세요.
한명호(가명) : 네, 명심하겠습니다.
진행자(박슬지) :
가정규칙은 가족의 형태나 구성에 관계없이 가족구성원과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서 서로 지켜야할 약속, 원칙, 추구하는 목표 가치를 만들고 공유하고
실천하기 위함이랍니다.
여러분은 누구와 함께 살고계신가요?
모든 가족이 따로 또 같이 행복한 공동체를 만드는 그날, 함께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