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 경우, Ctrl + Shift + R(캐시 비우기 및 강력 새로고침)으로 캐시를 새로고침해 주세요.

전체메뉴

구글번역
구글번역 닫기

서브 콘텐츠 시작

현재 페이지 위치

  • 상담안내
  • 온라인 상담

온라인 상담

  • 게시판에 자료게재 및 내용 입력 시 개인정보가 포함될 경우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 있사오니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개인정보보호법 제71조에 의해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 위조 또는 유출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등록된 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 타인의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 및 기타권리를 침해하는 내용물은 등록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책임은 작성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비방·욕설, 개인정보 등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삭제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게시하는 모든 정보에 대하여 타인의 명예를 손상시킬 수 있거나, 사생활 침해 등 불법정보가 포함된 게시물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즉시 삭제될 수 있음

국민의견함 상세보기

상담 요청드립니다.
작성자
이**
공개여부
공개
등록일
2025-08-01
상태
답변완료
지역
서울 종로구
내용
Здравствуйте!Данури колл-центр 1577-1366 отвечает по содержаниию вашего запроса.Вы просили ответить по вопросу бракоразводного процесса с вашим мужем гражданином Кореи. Прежде всего, согласно корейскому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у супруги могут развестись по обоюдному согласию. Если же супругам не удается достичь соглашения, один из супругов может подать иск о разводе против супруга. Расторжение брака в суде должно осуществляться по веским причинам, предусмотренными законом(различия в характере супругов не допускаются). Помимо развода, в ходе бракоразводного процесса в суде могут быть заявлены требования о взыскании алиментов и разделе имущества. При наличие у супругов общих несовершеннолетних детей будут рассмотрены дополнительные вопросы, касающиеся "родительских прав и назначения опекуна", "выплаты алиментов" и "согласования порядка встреч". В вопросах опеки и родительских прав в отношении детей, судья отдает приоритет благополучию ребенка, поэтому при назначении опекуна судья всесторонне учитывает условия развития ребенка, его вораст, финансовое положение, финансовые возможности и близость родителей. Обычно опекуном назначается один из родителей, но возможна и совместная опека, т.е. родительские права могут быть совместными. В колл-центре Данури каждый вторник проводятся юридические консультации, в случае необходимости предоставляется русскоговорящий консультант. Для записи необходим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ая запись! Спасибо! - Данури колл-центр 1577-1366 - это экстренная поддержка женщин-иммигрантов и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 консультации и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поддержка -
답변

 

 

 

 

 

클립리포트 4.0

개발자 매뉴얼

 

 

 

 

 

 

 

 

 

 

 

() 클립소프트

 

* 클립리포트는 REXPERT(렉스퍼트)의 새로운 이름입니다..

목차

 

1. OOF. 3

1) OOF 설명... 3

2) OOF 사용 예제... 4

2. 리포트 뷰어 사용법... 7

1) 동작 원리... 7

2) 뷰어 기본 설정... 7

3) 사용 방법... 8

가. HTML(Client)에서 java로 OOF 작성하여 리포트서버를 호출 하는 방법... 8

나. JSP(Server)에서 OOF 사용하여 리포트서버를 호출 하는 방법... 9

다. UserConfig.JS 의 ReportEventHandler 함수 설명... 10

라. clipreport.css 클래스 설명... 11

3. 부록... 15

1) OOF Document 설명... 15

2) 뷰어 함수 설명... 30

 

 

 

 

 

 

 

 

1. OOF

1) OOF 설명

OOF 는 클립리포트에서 보고서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기술하는 문서 포맷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Format 입니다.

<!--? version="1.0" encoding="UTF-8"?-->

<oof>

<document></document>

<connection-list></connection-list>

1.     <connection></connection>

<field-list></field-list>

2.     <field></field>

<file-list></file-list>

3.   <file></file>

<connection-list></connection-list>

1.          <connection></connection>

<field-list></field-list>

2.          <field></field>

  <field></field>

 

1번 부분은 보고서에서 사용할 연결 정보를 서술합니다. 웹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것인지 아니면 로컬 파일 아니면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며 데이터의 타입이 /CSV 인지도 설정합니다.

 

2번 부분은 보고서로 넘길 매개 변수의 값을 설정합니다.

 

3번 부분은 보고서 파일 정보를 설정합니다. 보고서 파일은 동시에 여러 개를 오픈 할 수 있습니다. 파일 내부에 선언된 connection field는 파일 밖에 connection, field 보다 우선순위가 더 높습니다.

 

 

2) OOF 사용 예제

대표적인 OOF 사용 예제 입니다. 더 자세한 OOF 문서작성을 위해서는 부록에 있는 3. 1) OOF Document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별도 서버에 리포트 파일과 데이터가 존재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파일부분 URL 주소 사용, Connection type http로 설정하여 가져오는 방식이며 데이터의 형태는 csv(구분자) 사용하는 예제입니다.

<!--? version='1.0' encoding='utf-8'?>

<oof>

<document title='report'>

<file-list>

<file type='reb' path='http://demo.clipsoft.co.kr/ClipReport/rebfiles/demo/post_number.crf'>

<connection-list>

<connection type='http' namespace='*'>

<config-param-list>

<config-param name='path'>http://demo.clipsoft.co.kr/ClipReport/rebfiles/demo/post_number.csv<!--config-param>

<config-param name='method'>post<!--config-param>

<!--config-param-list>

<content content-type='csv'>

<content-param name='col-delim'>,<!--content-param>

<content-param name='row-delim'>|#|<!--content-param>

<content-param name='dataset-delim'>|@|<!--content-param>

<content-param name='encoding'>euc-kr<!--content-param>

<!--content>

<!--connection>

<!--connection-list>

<!--file>

<!--file-list>

<!--document>

<!--oof><i></i>

위의 OOF는 리포트 파일을 “http://demo.clipsoft.co.kr/ClipReport/rebfiles/demo/post_number.cr f”에서 가져오고 “http://demo.clipsoft.co.kr/ClipReport/rebfiles/demo/post_number.csv”에 있는 CSV 파일을 가져와서 리포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었습니다.

 

설치된 서버 안에 리포트 파일과 데이터가 존재 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파일부분 로컬 파일 주소 사용, Connectiontype file로 설정하여 가져오는 방식이며 데이터의 형태는 사용하는 예제입니다.

만약 file typereb.root 사용한다면 %root%의 위치는 서버설치 시 사용되는 clipreport4.properties 파일의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 version='1.0' encoding='utf-8'?>

<oof>

<document title='report'>

<file-list>

<file type='reb' path='/home/clipreport/reb/post_number.crf'>

<!-- <file type='reb.root' path='%root%/report/crf/post_number.reb'> -->

<connection-list>

<connection type='file' namespace='*'>

<config-param-list>

<config-param name='path'>/home/clipreport/data/post_number.<!--config-param>

<!--config-param-list>

<content content-type=''>

<content-param name='root'>{%dataset..root%}<!--content-param>      

<!--content>

<!--connection>

<!--connection-list>

<!--file>

<!--file-list>

<!--document>

<!--oof>

위의 OOF는 내부 경로를 사용하여 리포트(/home/clipreport/reb/post_number.crf)와 데이터(/home/clipreport/data/post_number.)를 호출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시스템 내부의 리포트 파일이나 데이터를 가져올 경우에는 내부 경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리포트의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 할 때 자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파일부분 로컬 파일 주소 사용, Connection type memo로 설정하여 OOF 안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데이터의 형태는 csv(구분자) 사용하는 예제입니다.

<!--? version='1.0' encoding='utf-8'?>

<oof>

<document title='report'>

<file-list>

<file type='reb' path=/home/clipreport/reb/post_number.crf >

<connection-list>

<connection type='memo' namespace='*'>

<config-param-list>

<config-param name='data'><!--[CDATA[data1,data2,data3|#|file1,file2,file3]]><!--config-param>

<!--config-param-list>

<content content-type='csv'>

<content-param name='col-delim'>,<!--content-param>

<content-param name='row-delim'>|#|<!--content-param>

<content-param name='dataset-delim'>|@|<!--content-param>

<content-param name='encoding'>euc-kr<!--content-param>

<!--content>

<!--connection>

<!--connection-list>

<!--file>

<!--file-list>

<!--document>

<!--oof>

위와 같이 “Memo” 타입의 커넥션을 사용하면 OOF내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Jdbc 사용하여 리포트를 만드는 첫 번째 방식입니다. 파일부분 로컬 파일 주소 사용, Connection type jdbc로 설정하여 DB에 연결합니다. 리포트 파일에서 사용한 sql 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version='1.0' encoding='utf-8'?>

<oof>

<document title='report'>

<file-list>

<file type='reb' path='/home/clipreport/reb/post_number.crf'>

<connection-list>

<connection type='jdbc' namespace='*'>

<config-param-list>

<config-param name='dbname'>Oracle1<!--config-param>

<config-param name='class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config-param>

<config-param name='url'>jdbc:oracle:thin:@192.168.0.216:1521:orcl<!--config-param>

<config-param name='user'>clipsoft<!--config-param>

<config-param name='password'>password<!--config-param>

<!--config-param-list>

<!--connection>

<!--connection-list>

<!--file>

<!--file-list>

<!--document>

<!--oof>

위의 OOFJDBC 연결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OOF가 작성되면 리포트 엔진은 이 정보만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Jdbc 사용하여 리포트를 만드는 두 번째 방식입니다. 서버설치 시 DataConnection.properties에 설정한 jdbc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파일부분 로컬 파일 주소 사용, Connection type data로 설정하여 DataConnection.properties 안에 지정된 DB에 연결합니다. 리포트 파일에서 사용한 sql 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version='1.0' encoding='utf-8'?>

<oof>

<document title='report'>

<file-list>

<file type='reb' path=/home/clipreport/reb/post_number.crf >

<connection-list>

<connection type='data' namespace='*'>

<config-param-list>

<config-param name='dbname'>MYSQL1<!--config-param>

<!--config-param-list>

<!--connection>

<!--connection-list>

<!--file>

<!--file-list>

<!--document>

<!--oof>

“data” 타입의 커넥션을 사용하면 리포트 서버에 설정된 커넥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포트 서버는 관리자 페이지에서 설정하거나 “DataConnection.properties” 파일을 직접 수정하여 커넥션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에 예제에서 dbname(=”MYSQL1”) 항목은 리포트 서버에 설정된 커넥션의 이름입니다.

 

매개변수 사용 예제 입니다. 아래의 field-listfield 지정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version='1.0' encoding='utf-8'?>

<oof>

<document title='report'>

<file-list>

<file type='reb' path=/home/clipreport/reb/post_number.crf >

<connection-list>

<connection type='data' namespace='*'>

<config-param-list>

<config-param name='dbname'>MYSQL1<!--config-param>

<!--config-param-list>

<!--connection>

<!--connection-list>

<field-list></field-list>

<field <="" span="">name=지역>구로구</field>

<field <="" span="">name=우편번호>142-222</field>

<!--file>

<!--file-list>

<!--document>

<!--oof><i></i>

위와 같이 <field-list> </field-list>안쪽 부분을 설정하면 “post_number.crf” 리포트에 포함된 지역매개변수필드에는 구로구라는 값이, “우편번호매개변수 필드에는 “142-222” 값이 입력됩니다.

 

 

2. 리포트 웹 뷰어 사용법

1) 동작 원리

클립리포트 4.0html 뷰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java, css , html Tag DOM를 사용하여 구동됩니다. 지정한

태그 또는 태그에 java 함수를 이용하여 리포트 뷰어를 생성합니다. 설치된 서버와 ajax 통신을 통하여 리포트의 결과물을 받아서 지정된 Tag에 표현합니다.

클립리포트4.0 설치된 Was Server

 

 

 

Clip.jsp

Report

Engine

HTML5

웹 뷰어

.

.

.

요청

결과

리포트 호출(OOF 문서)

진행 사항 결과(리포트 생성 중)

진행 사항 체크

진행 사항 결과(리포트 생성 중)

진행 사항 체크

리포트 생성 완료 (결과물: SVG)

Ajax 통신

 

2) 웹 뷰어 기본 설정

아래 4개의 파일은 뷰어 html 를 만들기 위한 링크되어야 할 4가지 파일입니다.

파일명

설명

Clipreport.js

클립리포트 뷰어 엔진 입니다. Js 파일안에 정의된 함수를 이용하여 설치된 리포트서버와 통신하며 완료된 리포트를 웹브라우져에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뷰어와 관련된 여러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Jquery-1.11.1.js

모바일 쪽 뷰어 및 페이지 슬라이더 옵션에 들어가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사용중인 jquery 가 있으시다면 링크를 안 하셔도 됩니다.

UserConfig.js

서버와 통신 및 리포트 생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개발자 또는 사용자가 이벤트를 핸들링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함수입니다.

Clipreport.css

뷰어의 기본 디자인을 명시한 css 파일입니다.

 

아래와 같이 웹서버 또는 was 서버에 올라가 있는 파일을 링크해주시면 됩니다.

 

3) 사용 방법

. HTML(Client)에서 javaOOF 작성하여 리포트서버를 호출 하는 방법

아래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test.html 의 내용 입니다.

위와 같이 createReport() 함수를 통하여 리포트 뷰어 객체를 생성하여 보여 줄 수 있습니다.  

 

createReport() 함수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lipreport.js

createReport() 함수

파라미터

설명

reportPath (String)

Was에 설치된 Clip.JSP 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OOF (String)

String 형태로 된 OOF 문서를 지정합니다.

targetTag(DOM)

리포트가 생성될 DIV or Body DOM 지정합니다.

Return

Report

리포트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

 

. JSP(Server)에서 OOF 사용하여 리포트서버를 호출 하는 방법

이 방법은 JSP 에서 리포트서버 엔진을 실행한 후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그림은 기본으로 제공되는 test.JSP 의 내용입니다.

JSP에서 OOF를 만들어서 리포트를 생성하려면 “ReportUtil.createReport()” 메소드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ReportUtil.createReport()” 메소드를 호출하여 결과 키(“resultKey”)를 얻은 후, 이 키를 JavacreateImportJSPReport() 함수의 파라메터로 넘겨야 합니다.

 

JavaReportUtil.createReport 메서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m.clipsoft.clipreport.server.service.ReportUtil

ReportUtil.createReport 메서드

파라미터

설명

Request(Object)

서블릿의 request

OOF(String)

String 형태로 된 OOF 문서를 지정합니다.

isBigData(String)

대용량 데이터 옵션 (default : false)

isMemoryDump(String)

메모리를 사용한 리포트 생성 옵션 (default : false)

username(String)

유저 이름

propertyPath (String)

리포트 서버의 설정 파일 위치 (서버 설치 가이드 참조)

Return (String)

reportKey

리포트 실행 명령 후 결과물

java에서 생성한 리포트 결과물을 위에 화살표처럼 자바스크립트 변수로 받아 처리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동작하는 java CreateImportJSPReport() 함수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lipreport.js

CreateImportJSPReport()

함수

파라미터

설명

reportPath (String)

Was에 설치된 Clip.JSP 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reportkey (String)

리포트 실행명령 후 결과물

targetTag(DOM)

리포트가 생성될 DIV or Body DOM

지정합니다.

Return

report

리포트를 실해하기 위한 객체

 

위에 2가지 방법으로 생성된 리포트 뷰어 객체(”report”)을 이용하여 리포트 뷰어의 여러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함수는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함수 입니다. 그 밖에 함수에 관련 내용은 부록 3-2 과 최신 API(배포용 파일 또는 기술지원 사이트 API)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옵션

설명

report.setSlidePage(true);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때 슬라이드 옵션을 추가합니다.

report.setDefaultRatio(“PageWidth”)

리포트의 크기를 DIVwidth크기로 설정합니다.

 

옵션을 설정한 후 report.view() 실행하면 리포트 뷰어가 동작합니다.

 

. UserConfig.JS ReportEventHandler 함수 설명

아래의 함수는 리포트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호출하는 함수입니다. 기본적으로 발생한 event의 내용을 표시되어 있습니다. 사이트 상황에 맞게 함수를 변경하셔서 사용하시거나 UserConfig.js 파일 대신 다른 js 파일에 선언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 clipreport.css 클래스 설명

clipreport.css 파일은 리포트 뷰어의 UI 요소에 대한 style sheet가 설정된 파일입니다.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은 css 클래스를 지정 받았습니다.

UI 요소

CSS 클래스

메뉴 배경

report_menu_div

 배경

report_paint_div

메뉴 버튼 공통 클래스

report_menu_button

report_menu_button:hover

 저장버튼

report_menu_save_button

report_menu_save_button:hover

report_menu_save_button_svg

report_menu_save_button_svg:hover

report_menu_save_button_png

report_menu_save_button_png:hover

 인쇄버튼

report_menu_print_button

report_menu_print_button:hover

report_menu_print_button_svg

report_menu_print_button_svg:hover

report_menu_print_button_png

report_menu_print_button_png:hover

 첫 페이지 버튼

report_menu_leftEnd_button

report_menu_leftEnd_button:hover

report_menu_leftEnd_button_svg

report_menu_leftEnd_button_svg:hover

report_menu_leftEnd_button_png

report_menu_leftEnd_button_png:hover

 이전 페이지 버튼

report_menu_left_button

report_menu_left_button:hover

report_menu_left_button_svg

report_menu_left_button_svg:hover

report_menu_left_button_png

report_menu_left_button_png:hover

 다음 페이지 버튼

report_menu_right_button

report_menu_right_button:hover

report_menu_right_button_svg

report_menu_right_button_svg:hover

report_menu_right_button_png

report_menu_right_button_png:hover

 마지막 페이지 버튼

report_menu_rightEnd_button

report_menu_rightEnd_button:hover

report_menu_rightEnd_button_svg

report_menu_rightEnd_button_svg:hover

report_menu_rightEnd_button_png

report_menu_rightEnd_button_png:hover

 pdf 다운로드 버튼

report_menu_pdf_button

report_menu_pdf_button:hover

report_menu_pdf_button_svg

report_menu_pdf_button_svg:hover

report_menu_pdf_button_png

report_menu_pdf_button_png:hover

 엑셀 다운로드 버튼

report_menu_excel_button

report_menu_excel_button:hover

report_menu_excel_button_svg

report_menu_excel_button_svg:hover

report_menu_excel_button_png

report_menu_excel_button_png:hover

 한글 다운로드 버튼

report_menu_hwp_button

report_menu_hwp_button:hover

report_menu_hwp_button_svg

report_menu_hwp_button_svg:hover

report_menu_hwp_button_png

report_menu_hwp_button_png:hover

 등록정보 버튼

report_menu_reportInfo_button

report_menu_reportInfo_button:hover

report_menu_reportInfo_button_svg

report_menu_reportInfo_button_svg:hover

report_menu_reportInfo_button_png

report_menu_reportInfo_button_png:hover

 닫기 버튼

report_menu_close_button

report_menu_close_button:hover

report_menu_close_button_svg

report_menu_close_button_svg:hover

report_menu_close_button_png

report_menu_close_button_png:hover

 

화면 크기 조절 선택박스

report_menu_zoom_combo

 현재 페이지 창

report_menu_pageCount_input

 전체 페이지 창

report_menu_pageCount_span

 저장 화면

공통 : report_view_box

report_save_view_position

 

 

저장 옵션

(해당 저장방식에 따라 클래스가 다릅니다)

공통 : report_view_box

 

엑셀 : report_saveExcel_view_position

한글 : report_saveHWP_view_position

RTF : report_saveRTF_view_position

HTML : report_saveHtml_view_position

PDF : report_savePDF_view_position

 popup 화면 관련 모든 버튼

report_view_button

 

 

 

 

 

 

 

 

 

 

 

 

 

 

 

3. 부록

1) OOF Document 설명

oof

<i><oof version="4.0"></i>

<i>    <document title="report"></document></i>

<i>        <file-list></file-list></i>

<i>            <file type="reb" path="MiraeAsset2.reb"></file></i>

<i>            </i>

<i>        </i>

<i>        <connection-list></connection-list></i>

<i>            <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i>

<i>        </i>

<i>        <field-list></field-list></i>

<i>        </i>

<i>    </i>

<i></i>

            

속성

설명

version

리포트 버전

 

노드

설명

document

리포트 실행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document

<i><oof version="3.0"></i>

<i>    <document title="report"></document></i>

<i>        <file-list></file-list></i>

<i>            <file type="reb" path="MiraeAsset2.reb"></file></i>

<i>            </i>

<i>        </i>

<i>        <connection-list></connection-list></i>

<i>            <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i>

<i>        </i>

<i>        <field-list></field-list></i>

<i>        </i>

<i>    </i>

<i></i>

            

속성

설명

title

리포트의 제목을 표시합니다.

 

노드

설명

file-list

file노드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connection-list

connection노드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field-list

field노드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file-list

<i><file-list></file-list></i>

<i>    <file type="reb" path="MiraeAsset2.reb"></file></i>

<i>    </i>

<i></i>

 

노드

설명

file

오픈할 리포트의 파일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 이상의 file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개의 file을 설정할 경우 하나의 리포트처럼 순서대로 연속하여 출력됩니다.


 

connection-list

<i><connection-list></connection-list></i>

<i>    <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data.</config-param></i>

<i>        </i>

<i>    </i>

<i></i>

            

노드

설명

connection

리포트에서 사용할 데이터 연결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connection-list oof/document/connection-list oof/document/file-list/file/connection-list에 위치하고 있으며 oof/document/file-list/file/connection-list에 있는 connection-list는 해당 file에서만 적용됩니다.

링크된 connection을 찾을 때 oof/document/file-list/file/connection-list가 우선 적용되고 해당 connection이 없을 경우 oof/document/connection-list에서 찾습니다.


 

field-list

<i><field-list></field-list></i>

<i>    <field name="”</field></i><i>부서명”>개발팀</i>

<i>    <field name="”</field></i><i>직위명”>과장</i>

<i></i>

 

노드

설명

field

리포트로 전달할 파라미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field-list oof/document/field-list oof/document/file-list/file/field-list에 위치하고 있으며 oof/document/file-list/file/field-list에 있는 field-list는 해당 file에서만 적용됩니다.

매개변수값을 설정할 때 oof/document/file-list/file/field-list의 설정값을 우선하여 사용하고 oof/document/file-list/file/field-list에 값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oof/document/field-list의 값을 사용합니다.

 


 

file

<i><file type="reb" communicationtype="local" path="report.reb"></file></i>

<i>    <connection-list></connection-list></i>

<i>        <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data.</config-param></i>

<i>            </i>

<i>        </i>

<i>    </i>

<i>    <field-list></field-list></i>

<i>    </i>

<i></i>

            

속성

설명

type

리포트 파일의 타입을 표시합니다
- reb -
리포트 파일을 url 또는 웹서버 내의 로컬경로로 표시합니다.

- reb.base64 - 리포트 파일이 base64형태로 oof안에 포합됩니다.

- reb.root - %root%를 기준으로 한 리포트 파일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path

리포트 파일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type reb.base64일 경우 base64로 표현된 리포트 파일이 들어갑니다.

type reb.root일 경우 %root%로 시작되는 파일 경로가 들어갑니다. %root%clipreport4.properties 파일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path='%root%/report/crf/post_number.crf').

 

노드

설명

connection-list

connection노드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document노드 아래의 connection-list보다 우선 적용됩니다.

field-list

field노드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document노드 아래의 field-list보다 우선 적용됩니다.

 


 

connection

<i><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SuHyup1.</config-param></i>

<i>    </i>

<i>    <content content-type=""></content></i>

<i>        <content-param name="root">{%dataset..root%}</content-param>          </i>

<i>    </i>

<i></i>

            

속성

설명

type

데이터 연결 방식을 표시합니다.

 

data - 서버에 설정된 커넥션으로 연결합니다.

jdbc - jdbc db에 직접 연결합니다.

file - 데이터가 로컬 파일로 저장되어 있을 때 사용합니다.

http - 웹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을 때 사용합니다.

memo - oof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namespace

커넥션 이름

 

노드

설명

config-param-list

데이터 연결의 세부 정보를 표시합니다.

content

데이터 타입에 따른 정보를 표시합니다

 

리포트 파일에서 설정한 데이터셋의 커넥션 이름과 같은 namespace를 가진 connection을 찾아서 연결합니다.

해당 이름의 namespace를 가진 connection이 없을 경우 '*'로 설정한 connection을 사용합니다.

 


 

config-param-list

<i><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SuHyup1.</config-param></i>

<i>    </i>

<i>    <content content-type=""></content></i>

<i>        <content-param name="root">{%dataset..root%}</content-param>          </i>

<i>    </i>

<i></i>

 

노드

설명

config-param

데이터 연결 방식에 따른 세부 속성을 설정합니다.

 


 

config-param

<i><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SuHyup1.</config-param></i>

<i>    </i>

<i>    <content content-type=""></content></i>

<i>        <content-param name="root">{%dataset..root%}</content-param>          </i>

<i>    </i>

<i></i>

 

속성

설명

name

속성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text

속성의 값을 표시합니다.

 

connection type에 따른 속성을 설정합니다.

 

connection type=file

name

설명

path

데이터 파일의 로컬 경로를 표시합니다.

 

connection type=http

name

설명

path

데이터 파일의 웹 경로를 표시합니다.

method

데이터 전송 방식을 표시합니다.

-get

-post

 

connection type=memo

name

설명

data

csv,,json 형태의 데이터를 설정합니다.

 

connection type=data

name

설명

dbname

리포트 서버에서 설정한 dbconnection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connection type=jdbc

name

설명

classname

db종류에 따른 jdbc driver 클래스명을 설정합니다.

기본값으로 ' oracle.jdbc.driver.OracleDriver'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url

jdbc 연결 문자열을 입력합니다.

user

db 사용자 ID를 입력합니다.

password

db 사용자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data 또는 jdbc로 연결하였을 경우, 디자이너에서 설정한 쿼리로 실행됩니다.


 

http-param-list

<i><connection type="http" namespace="*">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connection>
</i>

<i>        <config-param name="path">http://localhost/rexpert3.0/rexserver.jsp</config-param></i>

<i>        <config-param name="method">post</config-param></i>

<i>    </i>

<i>    <http-param-list></http-param-list></i>

<i>        <http-param name="sql">{%auto%}</http-param></i>

<i>        <http-param name="code"></http-param></i><i>안녕하세요</i>

<i>    </i>

<i></i>

 

노드

설명

http-param

웹서버로 전송할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http-param-list connetion type http일 경우에만 사용되며 웹서버로 전송할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http-param

<i><connection type="http"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http://localhost/rexpert3.0/rexserver.jsp</config-param></i>

<i>        <config-param name="method">post</config-param></i>

<i>    </i>

<i>    <http-param-list></http-param-list></i>

<i>        <http-param name="sql">{%auto%}</http-param></i>

<i>        <http-param name="code"></http-param></i><i>안녕하세요</i>

<i>    </i>

<i></i>

 

속성

설명

name

파라미터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text

파라미터의 값을 표시합니다.

 

파라미터의 name "sql"일 경우 text "{%auto%}"로 설정하면 디자이너에서 설정한 쿼리가 sql의 파라미터값으로 전달됩니다.


content

<i><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SuHyup1.</config-param></i>

<i>    </i>

<i>    <content content-type=""></content></i>

<i>        <content-param name="root">{%dataset..root%}</content-param>          </i>

<i>    </i>

<i></i>

            

속성

설명

content-type

데이터 타입을 표시합니다
-

- json

- csv

namespace

Content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노드

설명

content-param

데이터 타입에 따른 세부정보를 설정합니다..

 

하나의 connection안에서 여러 개의 content를 사용할 경우 namespace를 사용하여 구분합니다.

(하나의 파일내에서 root경로를 달리하여 데이터를 연결하는 경우 등)

content가 여러 개 일 경우 리포트 파일에서 설정한 데이터셋의 이름을 가진 content를 적용하여 사용합니다. 해당 이름의 namespace를 가진 content가 없을 경우 첫 번째 content를 적용합니다.

일반적으로 content가 하나일 경우 namespace는 생략 가능합니다.


 

content-param

<i><connection type="file" namespace="*"></connection></i>

<i>    <config-param-list></config-param-list></i>

<i>        <config-param name="path">SuHyup1.</config-param></i>

<i>    </i>

<i>    <content content-type=""></content></i>

<i>        <content-param name="root">{%dataset..root%}</content-param>     </i>

<i>    </i>

<i></i>

 

속성

설명

name

속성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text

속성의 값을 표시합니다.

 

content type에 따른 속성을 설정합니다.

 

content-type=

name

설명

root

root경로를 설정합니다.
설정값이 {%dataset..root%}일 경우 리포트 파일에 적용된 root경로를 사용합니다.

encoding

데이터의 encoding타입을 설정합니다.

 

content-type=json

name

설명

root

json root경로를 설정합니다.
설정값이 {%dataset.json.root%}일 경우 리포트 파일에 적용된 root경로를 사용합니다.

encoding

데이터의 encoding타입을 설정합니다.

 

content-type=csv

name

설명

col-delim

csv 데이터의 열 구분자를 설정합니다.

row-delim

csv 데이터의 행 구분자를 설정합니다.

공백일 경우 디자인된 필드 개수에 따라 행이 구분됩니다.

dataset-delim

csv 데이터의 데이터셋 구분자를 설정합니다.

encoding

csv 데이터의 encoding 타입을 설정합니다.

dataset-index

데이터셋 구분자로 구분된 데이터셋 인덱스(1부터 시작)

{%dataset.index%}일 경우 디자인된 데이터셋의 인덱스로 사용합니다.


 

field

<i><field-list></field-list></i>

<i>    <field name="”</field></i><i>부서명”>개발팀</i>

<i>    <field name="”</field></i><i>직위명”>과장</i>

<i></i>

 

속성

설명

name

리포트 파일에서 설정한 매개변수 필드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text

매개변수 필드로 전달할 값을 설정합니다.

 

 

 

 

 

 

 

 

 

 

 

 

 

 

 

 

 

 

 

2) 웹 뷰어 함수 설명

-  리포트 뷰어를 호출하기 전에 설정하는 함수

setCloseReportEvent(closeFunction)

리포트 뷰어의 Close 버튼을 클릭하거나 CloseReport()함수를 호출했을 발생하는 이벤트 처리 함수

report.setCloseReportEvent(function(){ alert(""); });

Parameters:

closeFunction

{Function} 실행시킬 함수

setDefaultRatio(value)

default 화면 비율을 지정하는 합수 (설정하지 않을 경우 deafault 설정으로 100% 지정합니다.)

report.setDefaultRatio("75%");

Parameters:

value

{String} 50% , 75%, 100%, 125%, 150%, 200%,300%,400%, PageWidth, WholePage

setDirectPrint(isDirectPrint)

리포트의 뷰어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프린트를 호출하는 함수

target이 되는 div(또는 body) 설정하여야 하며 속성값 셋팅 후

 report.view() 함수를 호출하여야 동작합니다.

 report.setDirectPrint(true);

Parameters:

isDirectPrint

{Boolean} 설정값

setDPI(DPI)

리포트의 기본 화면 DPI 설정 함수

report.setDPI(96);

Parameters:

DPI

{Integer} DPI

setEXCELProgress(strURL{String}, x, y)

리포트의 Excel 다운로드 준비에 관한 사용자 프로그래스를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EXCELProgress('./img/deploying.gif', '50%', '30%');

Parameters:

strURL{String}

현재 html에서의 상대주소 or 절대주소

x

{String} (px) or (%) X좌표

y

{String}(px) or (%) Y좌표

setFadeView(isFadeView)

리포트의 생성 Viewer 페이드(Fade) 모션을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FadeView(true);

Parameters:

isFadeView

{Boolean} 설정값

 

 

 

setHWPPrint(isHWP)

리포트의 프린트 옵션을 한글뷰어로 사용하는 설정 함수

report.setHWPPrint(true);

Parameters:

isHWP

{Boolean} 설정값

 

setHWPProgress(strURL{String}, x, y)

리포트의 HWP 다운로드 준비에 관한 사용자 프로그래스를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HWPProgress('./img/deploying.gif', '50%', '30%');

Parameters:

strURL{String}

현재 html에서의 상대주소 or 절대주소

x

{String} (px) or (%) X좌표

y

{String}(px) or (%) Y좌표

 

 

setIsBigData(isSatatus)

대용량 리포트 옵션을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IsBigData(true);

Parameters:

isSatatus

{Boolean} 설정값

 

setIsMemoryDump(isSatatus)

Memory 사용한 빠른 리포트 생성 옵션을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IsMemoryDump(true);

Parameters:

isSatatus

{Boolean} 설정값

 

setPageCountTime(value)

리포트의 PageCount 호출하는 Interval Time 설정 함수

report.setPageCountTime(700);

Parameters:

value

{Integer} value (1000 = 1)

 

setPrintProgress(strURL{String}, x, y)

리포트의 프린트 준비에 관한 사용자 프로그래스를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PrintProgress('./img/deploying.gif', '50%', '30%');

Parameters:

strURL{String}

현재 html에서의 상대주소 or 절대주소

x

{String} (px) or (%) X좌표

y

{String}(px) or (%) Y좌표

 

setProgress(strURL{String}, x, y)

리포트의 생성 사용자 프로그래스를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Progress('./img/deploying.gif', '50%', '30%');

Parameters:

strURL{String}

현재 html에서의 상대주소 or 절대주소

x

{String} (px) or (%) X좌표

y

{String}(px) or (%) Y좌표

 

setSAVEProgress(strURL{String}, x, y)

리포트의 저장(다운로드) 준비에 관한 사용자 프로그래스를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SAVEProgress('./img/deploying.gif', '50%', '30%');

Parameters:

strURL{String}

현재 html에서의 상대주소 or 절대주소

x

{String} (px) or (%) X좌표

y

{String}(px) or (%) Y좌표

 

 

setSlidePage(isSlide)

리포트의 페이지 슬라이드 모션을 설정하는 함수

report.setSlidePage(true);

Parameters:

isSlide

{Boolean} 설정값

 

 

setStyle(controlName, cssText)

viewer 기본 디자인을 변경합니다.

report.setStyle("firstPage_button",

"left:inherit;right:195px;background-image:url(./user_img/first.png);background-color:tan;");

Parameters:

controlName

{String} 
menu :
메뉴 배경 부분
main :
리포트 배경 부분 
prev_button :
이전 리포트 버튼 
next_button :
다음 리포트 버튼 
firstPage_button :
첫페이지로 이동 버튼
lastPage_button :
마지막페이지로 이동 버튼
print_button :
프린트 버튼
close_button :
종료 버튼
pdf_button : pdf
다운로드 버튼
hwp_button :
한글 다운로드 버튼
html_button : html
다운로드 버튼
excel_button : excel
다운로드 버튼
reportInfo_button :
등록정보 버튼
zoomIn :
리포트 화면 비율 콤보
printCombo : 프린트 선택 콤보

input_box : 입력창
totalCount_box :
페이지 라벨

cssText

{String} 표준 CSS

 

 

setVisibleMenu(isMenu)

리포트 뷰어의 메뉴바를 숨기는 설정 함수

report.setVisibleMenu(false);

Parameters:

isMenu

{Boolean} 설정값

 

 

setLimitedPrint(pageCount)

리포트 인쇄에 대한 제한 페이지 수를 설정하는 함수

이 함수를 사용할 경우 인쇄버튼을 눌렀을 때 페이지수가 100페이지 이상일 때 팝업창을 띄워 줍니다.

 

 report.setLimitedPrint(100);

Parameters:

pageCount

{Integer} 제한 페이지

 

 

setSaveOptionVisible(optionType, isVisible)

리포트 저장 선택에서 각각 옵션에 보이기를 설정하는 함수

저장버튼을 사용할 때 보이고 싶은 옵션만 표현 할 때 사용합니다.

 report.setSaveOptionVisible("pdf", false);

Parameters:

optionType

{String} 저장옵션 타입 (excel, pdf, hwp, rtf, ppt, html)

isVisible

{Boolean} 설정값

 

setSplitPDFFileNames(arrayNames)

PDF 저장에서 분할 저장을 선택하였을 때의 각각의 pdf 파일명을 지정하는 함수

zip 파일안에 pdf의 이름을 설정할 때 사용합니다.

 

var arrayNames = new Array();

arrayName.push("fileName1");

arrayName.push("fileName2");

arrayName.push("fileName3");

report.setSplitPDFFileNames(arrayNames);

Parameters:

arrayNames

{Array} 이름 리스트

 

 

- 리포트 뷰어 호출 후 핸들링 가능 한 함수

 

closeReport()

리포트를 종료하는 함수

report.closeReport();

 

 

excelDownLoad()

리포트를 Excel 다운로드 하는 함수

report.excelDownLoad();

 

 

exportView()

리포트의 저장 설정화면를 호출하는 함수

report.exportView();

 

 

firstPage()

리포트의 첫번째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함수

report.firstPage();

 

htmlDownLoad()

리포트를 html 다운로드 하는 함수

report.htmlDownLoad();

 

 

hwpDownLoad()

리포트를 한글 다운로드 하는 함수

report.hwpDownLoad();

 

 

lastPage()

리포트의 마지막페이지로 이동시키는 함수

report.lastPage();

 

 

nextPage()

리포트의 다음페이지로 이동시키는 함수

report.nextPage();

 

 

 

 

 

pdfDownLoad()

리포트를 PDF 다운로드 하는 함수

report.pdfDownLoad();

 

 

previousPage()

리포트의 이전페이지로 이동시키는 함수

report.previousPage();

 

 

printView()

리포트의 프린트 설정화면를 호출하는 함수

report.printView();

 

 

reSize()

화면보기 설정에 맞게 뷰어를 ReSize 하는 함수

report.reSize();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