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 콘텐츠 시작
타기관 소식
-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 내년도 '서민희망 예산' 의 핵심과제로 추진
-
2010-09-17
1815
-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이 2011년도 ‘서민희망 예산’의 3대 핵심과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제의 하나로 추진된다.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 정부는 2010년 9월 16일(목) 07:30분 기획재정부 대회의실에서 열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린 「제71차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2011년도 예산안 중 ‘서민희망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예산’의 3대 핵심과제로 ‘보육’, ‘전문계 고등학생 지원’과 함께 ‘다문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화가족의 정착과 자립지원’을 선정하였다.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 이날 확정된 사업 중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다문화가족 자녀 양육 및 언어발달 지원</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다문화가족에 보육료 전액 지원</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언어발달을 위한 다문화 언어지도사 배치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확대(100명 → 200명)</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엄마(아빠)나라 언어습득 지원을 위한 이중언어강사 양성</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신규, 100명)</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동반·중도입국 청소년 초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지원</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신규, 10개 지역)</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 결혼이민자에 대한 정보제공, 언어교육 등 조기정착 지원</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다국어 포털 ‘다누리’를 통한 온라인 다국어지원 확대</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4개 → 8개 국어) 등 정보제공</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결혼이민자 대상 방문교육 서비스(한국어, 양육정보 등) 강화</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방문교육지도사 2,240명 →3,200명)</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결혼이민자 직업교육 및 취업지원 활성화</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전액지원 및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우선 제공</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결혼이민자의 지역기업 일자리 발굴·취업 지원(월 50만원)</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이해 제고</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내국인·다문화가족이 함께하는 다문화동아리 활동, 어울림생활체육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지원 확대</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결혼이민자를 ‘다문화강사’로 양성, 학교·문화시설 등 파견</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공중파 TV, 지하철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대국민 인식개선 홍보</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 여성가족부 이복실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지금까지 다문화가족지</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원정책이 결혼이민자의 초기 사회적응과 다문화가족의 영유아 자녀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위주로 추진되어 온 경향이 있었다.”며,
○ “이번 안을 계기로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자립과 자녀의 역량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개발 등 보다 미래지향적 관점의 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밝혔다.
❑ 한편, 보육정책과 관련해서도, 여성가족부가 담당하는 ‘집으로 찾</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아가는 0세아(3-12개월) 정기돌봄서비스’ 대상이 현재 보육료 지원기</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준 50%(4인가구 기준 월소득 258만원)에서 70%(4인가구 기준 월소</h6>
<h6 style="LINE-HEIGHT: 150%; MARGIN-TOP: 10pt; LAYOUT-GRID-MODE: char" class="바탕글">득 450만원)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h6>
- 첨부파일
-
공유하기
SNS 리스트
https://www.liveinkorea.kr/web/lay1/bbs/S1T11C31/A/8/view.do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