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첨부파일) . Comment bien prendre les médicaments – Familiarisez-vous avec les antidépresseurs avant d’en prendre.
똑소리나는 의약품복용법 우울증 치료제 바로 알고 사용하세요 노인 우울증이란? 일반적으로 65세 이후에 진단되는 경우에 '노인 우울증' 또는 '노년기 우울증'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어르신의 1/3이 우울 증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 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우울증 환자의 증가율은 2012년과 2017년을 비교해보면 16% 증가하였고 60세 이상의 노인 우울증 환자는 우리나라 전체 우울증 환자 중 60대 이상이 4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노인 우울증의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노인에게 우울증이 흔하게 발생하는 이유는 노인층의 경제력 상실, 신체기능 저하, 각종 질환, 사별과 같은 생활사건이 주요 원인으로 보여집니다. 노인우울증의 증상 일반적 증상 - 우울감, 무기려감, 불안, 흥미 저하, 식욕장애, 수면장애 가면성 우울 - 자신의 우울증상 등 심리적인 상태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대신 다른 신체 증상을 호소함 두통, 어지러움, 목, 어깨, 허리통증, 불안, 불면, 구역질, 소화불량, 잦은 배뇨, 불편감 노인 우울증의 약물 치료 우울증 환자 대부분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정상인보다 낮습니다. 따라서 뇌 속에서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약물을 사용하여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 치료제의 작용 원리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이 다시 신경세포 내부로 재흡수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이 분해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노인 우울증의 약물 치료방법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개인의 상태 및 치료방법마다 주의 사항 및 부작용이 다르므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약물을 처방 받아야합니다. 약물 종류별 특징 및 주의사항 1세대 약물 - 비선택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차단 -대표적인 의약품: 아미트립틸린, 노르트립틸린 -부작용: 기립성 저혈압, 입마름, 변비 등 -주의사항: 노인환자에게는 비교적 부작용이 약한 노르트립틸린이 권장됨 2세대 약물 -선택적으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 -대표적인 약물: 파록세틴, 플루옥세틴, 설트랄린 -부작용: 설사, 운동마비, 근육강직 등 -주의사항: 노인환자에게 폭넓게 사용되나, 약물에 따라 골절 위험 및 수면주기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기 복용 시 주의 3세대 약물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 -대표적인 약물: 벤라팍신, 데스벤라팍신 -부작용: 혈압상승, 근육강직, 설사 등 -주의사항: 지속적인 혈압상승 우려가 있으므로 고혈압 환자의 경우 주의 기타 -신경전달물질이 분해되는 것을 차단 -대표적인 약물: 모클로베미드 -부작용: 설사, 불안 -주의사항: 치즈, 적포도주, 된장, 청어 피클 등 티라민 함유 음식 섭취시 혈압이 상승할 수 있음 노인 우울증은 초기에 찾아내고 적절한 치료를 했을 경우, 완치율은 80%이상입니다. 노인 우울증은 노년기에 찾아오는 당연한 현상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가족들이 서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주세요 신체적 불편함의 신호가 우울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지 항상 살펴봐야 합니다 전문의와 상담을 통한 정확한 치료가 최선의 방법임을 잊지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