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센터사업
-. 가족사업 : 다문화가족 이중언어 환경조성프로그램, 다문화가족 학령기 자녀 입학 및 입시정보 제공 등
-. 성평등 : 배우자, 부부교육 등
-. 인권 : 다문화이해교육, 인권감수성향상교육 등
- . 사회통합 : 취업기초소양교육, 취업연계, 다문화가족 나눔봉사단 소양교육, 다문화가족 나눔봉사단 활동, 한국사회정응
다문화가족자조모임, 다문화인식개선,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등
-. 상담 : 가족상담, 개인상담, 집단상담 등
-. 홍보 및 자원연계 : 지역사회홍보, 지역사회네트워크, 홈페이지 운영 등
2. 방문교육사업
-. 다문화 한국어교육서비스 : 다문화가족의 언어소통 장애로 한국생활 조기 정착이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육 지도사를 파견, 전문상담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지원
-. 다문화가족 아동양육지원서비스 : 한국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12세미만의 아동을 양육하는 결혼이민자에게 아동양육전반에 걸친 교육 및 상담서비스를 통해 아동양육 능력 제고를 통한 가족통합 지원
3. 통번역서비스 사업
-. 통ㆍ번역 인력(베트남어) : 의사소통이 어려운 결혼이민자에 대한 입국초기 상담ㆍ정보제공ㆍ교육과정, 가족간 또는 행정ㆍ사법기관, 학교상담, 병원 진료 등 가족ㆍ사회생활에 필요한 통ㆍ번역서비스 제공
4. 자녀언어발달 지원사업
-.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언어 발달 진단 및 교육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내방하는 다문화 자녀에 대한 언어발달 진단 및 교육 실시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근 보육시설에 파견하여 언어발달 진단 및 교육 실시
: 기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자녀지원과 관련하여 지정하는 업무
5.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업
-. 초기 적응을 위한 정보 제공 및 정서적 지지
-. 상담, 교육, 멘토링, 자조모임 등 서비스 연계
-. 네트워크 및 지역사회자원 연계
-. 긴급. 위기상황에 당면한 문제에 개입 및 지원
6. 결혼이민자 멘토링 프로그램
-. 사회적지지, 가족생활, 지역사회, 건강, 임신.출산, 심리.정서 지원 외
7. 다문화가족 자녀성장 지원사업
-. 수요자 발굴, 초기면접(설계)
-. 부모.자녀관계향상프로그램
-. 사회성발달 프로그램
-. 미래설계 프로그램
-. 위기사례지원 프로그램 외
8. 한국어교육 운영
-. 정규 한국어 교육 과정
-. 중도입국자녀과정
-. 한국어 심화과정(특별반) 운영